카테고리 없음

"수술 불가" 췌장암 환자에 '3000V' 전기 쐈더니…9개월 더 살았다

myinfo1030 2025. 3. 11. 21:51

https://v.daum.net/v/20250311175127119

 

"수술 불가" 췌장암 환자에 '3000V' 전기 쐈더니…9개월 더 살았다

수술이 힘든 췌장암에 3000볼트(V)의 전기를 흘러 암세포를 터트리는 '비가역적 전기천공법'(Irreversible Electroporation, IRE)의 효과가 입증됐다. 세브란스병원은 11일 영상의학과 김만득·권준호 교수

v.daum.net

"수술 불가" 췌장암 환자에 '3000V' 전기 쐈더니…9개월 더 살았다

박정렬 기자2025. 3. 11. 17:51

 
[박정렬의 신의료인]


수술이 힘든 췌장암에 3000볼트(V)의 전기를 흘러 암세포를 터트리는 '비가역적 전기천공법'(Irreversible Electroporation, IRE)의 효과가 입증됐다.

세브란스병원은 11일 영상의학과 김만득·권준호 교수팀이 수술이 힘든 췌장암 환자 13명을 대상으로 한 IRE 치료 결과 평균 생존 기간이 최대 9개월 늘어났다고 밝혔다. 김만득 교수는 이번 임상 결과를 오는 30일 미국 내슈빌에서 열리는 인터벤션 영상의학회(Society of Interventional Radiology)에서 발표할 예정이다.

췌장암의 5년 생존율은 15.9%에 불과하다. 수술이 가능한 췌장암은 전체의 20% 수준으로, 대부분 수술이 불가능한 상태로 진단받는다. 주변 혈관이나 장기에 침범한 국소 진행성 췌장암의 경우 항암치료를 받더라도 평균 생존 기간은 진단 후 6~11개월 정도에 그친다.


IRE는 암 조직 주변에 3~6개의 전극을 삽입해 고압의 전기를 흘려 암세포를 제거하는 치료법이다. 가정용 콘센트 전압 220볼트(V)의 10배 이상인 3000볼트(V)의 전기를 사용한다. IRE는 열에너지를 이용하지 않기 때문에 주변 혈관이나 조직은 거의 손상되지 않는다. 고압의 전기로 암세포의 막에 눈으로 확인할 수 없을 만큼 미세한 크기의 구멍이 여러 개 생기고, 이 미세 구멍이 세포의 내외부 균형을 무너뜨려 세포사멸을 유도한다.

특히, 암세포가 사멸하면서 미세 구멍으로 암세포 물질이 노출되는데, 이 물질이 백신과 같은 작용을 하면서 체내 면역세포 활동도 촉진한다. 미국에서 개발돼 전 세계에서 사용되고 있는데 국내에는 2016년 세브란스병원에 처음 도입된 후 최근 신의료기술로 인정받았다.

김만득 교수팀은 수술이 불가능한 췌장암 환자 13명을 대상으로 IRE 치료를 시행했다. 국내 의료기기업체 더스탠다드에서 개발한 EPO 시스템으로, 기존 IRE 장비와 비교해 시술 효과를 극대화하고 시술 시간도 줄인 새 기기를 적용했다.

/사진=세브란스병원


그 결과 환자의 시술 후 평균 생존 기간은 11~14개월(기존 IRE 시술)에서 최대 9개월 이상 늘어난 평균 20.7개월이었다. 진단 후 평균 생존 기간은 기존 IRE 시술이 17~27개월이지만 평균 43.9개월로 최대 26개월 이상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기존 IRE 장비의 경우 3~6개의 전극을 1.5~2㎝의 일정한 간격으로 평행하게 삽입해야 해 시술을 하려면 상당한 숙련이 필요했다. 하지만 EPO 시스템의 경우 하나의 통으로 된 큰 전극에 3~4개의 작은 전극을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한 다중전극(clustered electrodes)으로 한 번에 삽입할 수 있다. 시술 효과가 높아지는 동시에 시술 시간도 50% 이상 줄일 수 있다.

 

시술은 전신마취 후 초음파나 CT, 혈관 촬영 등 영상 검사를 통해 암 조직 주변에 전극을 삽입한다. IRE 도입 초기에는 개복해서 시술했지만, 최근에는 피부를 통해 시술해 흉터가 작고 1주일 정도면 퇴원할 수 있다.

장비 개발에 참여한 김만득 교수는 "종양이 다른 장기로 전이됐거나 크기가 너무 큰 경우 IRE 치료 적응증이 되지 않거나 효과가 떨어진다"면서 "이번 연구는 비록 환자 수가 많지 않아 후속 연구가 더 필요하지만, 수술이 불가능하고 항암치료 효과가 떨어지거나 항암제 부작용으로 다른 치료 옵션이 없는 환자들에게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라 밝혔다.

박정렬 기자 parkjr@mt.co.kr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