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 제21대 대통령 선거, 투표했습니다.

myinfo1030 2025. 5. 20. 22:41

■ 20250520(陰 04.23) TUE

대한민국 제21대 대통령 재외 선거

 Kenny G - You´re Beautiful

https://www.youtube.com/watch?v=MhCj6ZS235k

 중앙선거관리위원회

https://nec.go.kr/site/abroad/main.do

https://nec.go.kr/site/abroad/ex/bbs/View.do?cbIdx=1195&bcIdx=268237&relCbIdx=1147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재외선거

www.nec.go.kr/site/abroad/main.do

 21대 대통령선거

선거일 : 06.03.

투표일 : 2025.06.03.() 임시공휴일

투표시간 : 오전 6 ~ 오후 8

사전투표 : 2025.05.29.() ~ 05.30.() 매일 오전 6 ~ 오후 6

재외투표 : 2025.05.20.() ~ 05.25.() 매일 오전 8 ~ 오후 5

(공관별로 기간을 달리 정할 수 있음)

투표장소 : 지정된 내 투표소

선거권 :선거일 기준 만 18세 이상의 국민

(2007.06.04. 출생자까지)

준비물 : 본인임을 확인할 수 있는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여권, 기타 관공서 또는 공공기관에서 발행한 사진이 부착된 신분증

[모바일 신분증]은 스마트폰 앱을 실행해서 제시해야합니다.

화면 캡쳐본이나 저장한 이미지는 인정되지 않습니다.

임기 : 5 (2025.06.04. ~ 2030.06.03.)

주요선거정보 바로가기

정치관계법 질의 정치관계법 위반행위신고 홈페이지 개선의견 선거통계시스템 선거법령정보 정책공약마당

HOME > 홍보자료 > 이슈카드좋아요38페이스북카카오스토리네이버블로그프린트

[21대 대통령 재외선거] 외국에서 투표하여면 국외부재자 신고를 해야합니다.

작성자 : 운영자 등록일 : 2025-04-04

 당신의 귀중한 한 표 대한민국의 미래를 결정합니다.

 재외동포청

www.oka.go.kr/

 032-585-3100, 찾아가는 길

주요활동

재외동포 지원 서비스, 알림·소식, 정책·정보,

재외동포협력센터, 재외동포의 창, 스터디코리안, 한상넷, 코리안넷

재외동포 서비스 지원센터, 서식, 해외이주, 재외국민 등록, 아포스티유, 민원업무, 정책 안내.

사이트 블로그, 유튜브,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귀하의 소중한 한 표 대한민국의 미래를 결정합니다.

 주밴쿠버 대한민국 총영사관

https://vancouver.mofa.go.kr/ca-vancouver-ko/index.do

주밴쿠버 대한민국 총영사관

긴급연락처

대표전화 :+1-604-681-9581

영사콜센터(24시간) : +82-2-3210-0404(유료)

(무료)스마트폰에 무료전화앱 설치/이용

사건사고 등 발생시 긴급전화(근무시간외) : +1-604-313-0911

( 大統領[대통령] President

공화국의 최고 지도자로서 외국에 대해 국가를 대표하는 국가의 元帥(원수) :

 

 요약

국가의 행정권을 담당하는 최고위 공무원.

대통령은 정당하게 선출된 공무원으로 민주주의적 전통에 합당한 역할을 수행한다.

공화국의 대통령은 국가원수이나 실제적인 권한은 나라마다 차이가 있다.

미국 등에서는 대통령이 막강한 권력과 책임이 부여되지만, 서유럽 등에서는 의례적인 지위에 머문다.

대통령제는 미국이 그 가장 원형적인 모델을 선보인 이래, 민주공화제를 택한 대부분의 근대 국가에서 채택하고 있다.

 

 정의

공화제 국가의 행정 부문을 담당하는 최고 책임자.

대부분 민주주의적 선거를 통해 국민의 직접 선거나 의회에서 선출되는 공무원이다.

공화국의 대통령은 국가원수의 지위를 갖고 있지만 권한의 범위는 나라마다 차이가 있다.

미국, 한국 등의 국가에서는 대통령의 직위에 막강한 권력과 책임이 부여되지만, 총리가 최고 행정책임자로 되어 있는 서유럽에서는 그 권한이 상대적으로 약하며, 대외적인 대표성과 외교를 담당하는 의례적인 지위에 머문다.  대통령제

 

 어원

'대통령'을 뜻하는 영어 '프레지던트(president)'는 원래 아메리카 대륙에 있던 영국 식민지의 일부 지사들을 부르는 호칭이었다.

영국 식민지의 '프레지던트'는 식민지 의회에서 선출된 행정 지도자라는 의미를 담고 있었다.

미국 독립혁명(1776)이 시작된 후 주정부들이 들어서자 주정부의 몇몇 수반들이 '프레지던트'라는 직함을 계속 사용하게 되었다.

이 명칭에 기원을 둔 '미합중국 대통령(The President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이라는 명칭은 초기에는 대륙회의나 연합헌장하의 의회에서 회기를 진행하던 의장을 지칭하는 말이었는데, 1787 9월 초안이 제정된 미국 헌법의 입안자들은 최고 행정책임자를 뜻하는 용어로 이 명칭을 채택했다.

이후 '프레지던트'라는 용어는 미국에 이어 민주공화국 체제를 구축한 나라에서 최고 행정책임자를 뜻하는 용어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동양에서 '대통령'이라는 용어는 '일정한 영역()을 다스리는 사람()'이라는 한자어인 '통령(統領)'에 기원을 두고 있다.

중국, 한국, 일본 등에서 '통령'이라는 용어는 일정한 규모의 군대나 조직을 다스리는 지위를 뜻하는 말이었다.

19세기 중반 일본이 서양의 문물을 번역을 통해 받아들이는 과정에서 일본에서 서양의 정치적 지도자를 뜻하는 말로 '통령'이라는 한자어를 빌어서 표현했고, 나아가 공화국을 이끄는 국가 수반을 뜻하는 말로 '대통령'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한국에서는 19세기 말에 '대통령'이라는 표현을 미국의 '프레지던트'를 부르는 말로 쓰기 시작했으며, 1919 4월 중국 상하이에서 설립된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수반으로 '대통령'이라는 직제를 정한 후 이 명칭을 국가 원수의 의미로 계속 사용하고 있다.

 

 대통령제

대통령제는 대통령을 국가 수반으로 하는 정치 체제를 말한다. 대통령제는 미국의 사례를 원형으로 하여 근대 민주공화제와 함께 세계 여러 나라에서 채택했다.

하지만 대통령제를 실행하는 나라의 전통과 정치적 상황에 따라 대통령의 실제 양상은 다양하게 나타난다.

대부분의 나라에서는 정당하게 선출된 공무원으로서 민주주의적 전통에 합당하게 역할을 수행하지만, 어떤 나라에서는 비상사태를 구실삼아 헌법상의 임기가 끝난 뒤에도 집권을 계속하기도 한다.

 

예외가 전혀 없지는 않으나 유럽의 대통령은 대부분 외교적 대표성을 가진 의례적인 국가원수를 지칭한다.

·북아메리카와는 대조적으로 서유럽의 국가들은 의회에 책임을 지는 내각에 행정권을 부여함으로써 대통령의 권력을 약화시킨다.

이 경우 최고 행정책임자는 내각의 수반이자 의회 다수당의 당수인 총리이다.

대통령의 선출은 직접선거나 선거인단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고 의회에서의 투표에 따르기도 한다.

동유럽 등 공산국가에서도 의례상의 국가원수를 대통령이라고 부른다.

 

 대통령의 권한과 의무

미국 헌법에 규정된 대통령의 역할·권한·책임은 비교적 간명하다(미국연방헌법).

대통령의 주된 임무는 법규범이 충실하게 집행되도록 하는 일이며 각료급 부서를 포함하는 정교한 행정체계를 통하여 임무를 수행한다. 대통령은 모든 각료와 대부분의 고위관료들을 임명한다.

또한 연방법원의 판사들을 임명하는데, 여기에는 대법원 판사들도 포함되며 이들에 대해서는 입법부인 의회의 승인을 얻어야 한다(미국연방대법원).

대통령은 전시는 물론 평화시에도 군대의 통수권자이다.

대통령에게는 핵무기 사용과 육··공군의 이동을 지휘할 무제한적인 권한이 부여되어 있다.

대통령은 상원의 승인을 조건으로 외국 정부와 조약을 체결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대통령은 의회를 통과한 법안들에 대하여 거부권을 행사할 수 있다(미국의회).

의회는 2/3의 찬성으로 거부법안을 재가결할 수 있다.

 

 선출 방식과 임기

대통령의 선출 방식은 나라마다 다르다.

국민의 직접선거를 통해 선출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의회에서 선출하기도 한다.

미국 대통령은 연방국가로서의 특성 때문에 직접선거를 통하지 않고 선거인단에 의한 간접적인 방법으로 선출된다.

그렇지만 선거인단의 구성은 기본적으로 일반투표를 반영하고 있다.

 

 대통령의 임기

나라마다 다르다.

미국, 칠레, 볼리비아 등 아메리카 대륙의 많은 나라가 4년 임기제를 택하며, 독일, 브라질, 불가리아, 오스트리아, 프랑스 등은 5년이고, 니카라과, 러시아, 멕시코, 이집트 등은 6년이다. 이탈리아, 세네갈, 시리아, 터키 등은 7년이며 코트디부아르는 10년을 택하고 있다.

 

 한국의 대통령

한국의 대통령제는 미국의 원형과는 약간 다른 모습을 보이고 있다. 한국의 대통령은 입법부·사법부에 대한 우월성을 향유하면서 긴급명령권, 헌법개정제안권, 국민투표부의권 등의 비상적 권한들을 행사해왔다.

통치구조상 한국에 대통령제가 처음으로 등장한 것은 3·1운동을 계기로 탄생한 상해 임시정부에서이며 1948 8 15일 대한민국 정부가 공식 출범한 이후 현재에 이르기까지 꾸준히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그동안 정부형태가 바뀔 때마다 대통령의 헌법상 지위에도 변화가 거듭되었는데, 1공화국의 대통령은 권력의 통합을 추진함으로써 독재적 지배를 행했고 제2공화국의 경우 의원내각제하의 국가원수로서 상징적인 지위에 머물렀으며 5·16군사정변 후의 제3공화국 대통령제는 행정권의 안정과 강화에 역점을 두고 있었다.

 

4공화국의 유신헌법은 '조국의 평화적 통일과 한국적 민주주의의 토착화'라는 기본이념에 따라 대통령에게 영도자로서의 지위를 부여했다.

5공화국 헌법은 신대통령제의 전형이라고 일컬어졌던 제4공화국 정부 형태에 대한 반성으로 국회관여권과 법원관여권을 대폭 축소시켰으며 대한민국 정부수립 이래 처음으로 평화적인 정권교체가 이루어졌다.

6공화국의 대통령은 임기 5년의 단임을 조건으로 직접선거에 의해 선출되었다.

유신체제 이후의 국회해산권은 삭제되었고 대법관의 임명에 있어 대법원장의 재청 외에 국회의 동의가 필요하게 되었다.

6공화국 대통령은 법률안제출권과 비상조치권을 보유하는 점에서 미국의 대통령제와 두드러진 차이를 보인다.

 

 권한과 의무

한국의 대통령에 대한 권한과 의무는 헌법에 규정되어 있다.

대통령은 국가의 원수로서 외국에 대해 국가를 대표하며 외교에 관한 권한을 갖는다.

행정부의 수반으로 정부의 조직권, 행정부 주요 직책의 임명권, 국무회의의 의장으로 행정부를 통할하는 권한과 국군의 통수권을 갖는다.

한편 대통령은 국가의 독립, 영토의 보전, 국가의 계속성과 헌법을 수호할 책임을 지며, 평화적 통일을 위해 노력할 의무와 겸직 금지의 의무가 있다.

 

 선출 방식

한국에서는 대통령의 선출 방식을 헌법에 정하고 있다.

이에 의하면 대통령은 국민의 보통·평등·직접·비밀선거에 의하여 선출한다.

대통령 피선거권자는 국회의원의 피선거권이 있으며 선거일 현재 40세에 달하여야 한다.

선거 결과 최고득표자가 2인이상인 때에는 국회의 재적의원 과반수가 출석한 공개회의에서 다수표를 얻은 자를 당선자로 한다. 대통령후보자가 1인일 때에는 그 득표수가 선거권자 총수의 3분의 1이상이 아니면 대통령으로 당선될 수 없다.

 

 임기

한국의 경우 제6공화국에서 대통령의 임기는 5년이며 중임할 수 없고 단임제로 정했다.

대통령의 임기를 연장하거나 중임으로 변경하는 개헌은 그 개정안 제안 당시의 대통령에 대해서는 효력이 없다.

이는 과거의 정권이 그 정권을 연장하기 위한 수단으로 개헌을 추진했던 것에 대한 반성에서 비롯한 것이다.

대통령의 유고, 하야 등의 이유로 발생한 궐위에 따른 선거는 대통령의 궐위에 따른 선거의 사유가 발생한 날부터 60일 이내에 실시된다(<공직선거법> 35조제1·5항제1).

이 경우 늦어도 선거일 전 50일까지 대통령 또는 대통령권한대행자가 선거일을 공고해야 한다(동법 제35조제1).

 

 전직 대통령의 예우

전직 대통령에 대한 예우는 나라마다 다르다.

한국에서는 <전직 대통령 예우에 관한 법률>을 두어 이에 따르고 있다.

이 법에 의하면, 전직 대통령에게는 지급 당시의 보수연간 금액의 95%에 상당하는 연금을 지급하고, 대통령이 사망했을 때 배우자 등 유족에게는 유족연금을 지급한다.

민간단체 등이 전직 대통령을 위한 기념사업을 추진할 때에는 법에 따라 필요한 지원을 할 수 있다.

전직 대통령에게는 비서관과 운전기사, 경호와 경비, 교통과 통신 및 사무실의 지원, 본인과 가족에 대한 치료를 지원한다.

다만 재직 중 탄핵 결정을 받아 퇴임한 때, 금고 이상의 형이 확정된 때, 형사처분을 회피하려고 외국에 도피했을 때, 국적을 상실했을 때에는 경호와 경비를 제외하고 전직 대통령에 대한 예우를 하지 않는다.

 

 역대 대통령

이름 정당 재임기간

이승만(1~3) 자유당 1948. 7~1960. 4

허정(권한대행)   1960. 4~1960. 8

윤보선(4) 민주당 1960. 8~1962. 3

박정희(권한대행)   1962. 3~1963. 12

박정희(5~9) 민주공화당 1963. 12~1979. 10

최규하(권한대행)   1979. 10~1979. 12

최규하(10)   1979. 12~1980. 8

박충훈(권한대행)   1980. 8~1980. 8

전두환(11~12) 민주정의당 1980. 8~1988. 2

노태우(13) 민주정의당 1988. 2~1993. 2

김영삼(14) 민주자유당 1993. 2~1995. 2

신한국당 1995. 2~1998. 2

김대중(15) 새정치국민회의 1998. 2~ 2003. 2

노무현(16) 열린우리당 2003. 2~2008. 2

이명박(17) 한나라당 2008. 2~2013. 2

박근혜(18) 새누리당 2013. 2~2017. 3

문재인(19) 더불어민주당 2017. 5 ~ 2022. 5

윤석열(20) 국민의힘 2022. 5 ~ 2025. 4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기사 출처 : https://100.daum.net/encyclopedia/view/b04d3255a

 

 귀하의 소중한 한 표 대한민국의 미래를 결정합니다.

 나의 하루

아침에 눈을 뜨면 지금도 살아 있음에 감사드리며

저녁 잠자리에 들 때면 오늘 하루도 최선을 다해 살게 해 주심에 감사할 따름입니다.

 

19950101(1201) SUN, 나의 備忘錄 에서

Mundy Sung

 在外選擧(재외선거)

재외선거란 재외국민을 대상으로 한 선거이다.

선거일 현재 18세 이상의 재외국민은 대통령선거와 임기 만료에 따른 국회의원선거(비례대표 한정, 국외 일시 체류자는 지역구 가능)에대한 투표권을 가진다.

선거가 실시될 때마다 국외에서 선거에 참여하고자 하는 재외선거인은 등록 신청 기간에 해당 공관을 직접 방문하여 등록을 마쳐야 한다. 등록 신청 기간은 선거일 전 150일부터 선거일 전 60일까지다.

 당신의 귀중한 한 표 대한민국의 미래를 결정합니다.

 조기대선 재외투표 시작 밴쿠버, 25일 까지 한 표 행사

 

밴쿠버 중앙일보 기자 입력25-05-20 10:37 수정 25-05-20 10:37

https://joinsmediacanada.com/bbs/board.php?bo_table=news&wr_id=45147

밴쿠버는 5 20~25, 캘거리는 22~24일 재외투표 진행

 

전 세계 118개국 223개 투표소에서 실시

21대 한국 대통령을 선출하기 위한 재외국민투표가 20일 전 세계에서 시작됐다.

한국 국적자지만 한국 내 주민등록이 돼 있지 않은 재외선거인이나, 한국에 주민등록이 돼 있지만 불가피하게 외국에서 투표를 해야 하는 국외부재자 중 유권자 등록을 마친 사람은 재외선거에 참여할 수 있다.

이번 대선 재외투표는 현지시간 20일 오전 8시부터 25일 오후 5시까지 전 세계 118개국 223개 투표소에서 실시된다.

 

한국과 같은 시간대인 일본에선 이날 오전 8시부터 도쿄와 오사카 등지에 마련된 총 19개 투표소에서 투표가 시작됐다.

이른 아침인 데도 일본 도쿄의 주일 대사관에 설치된 투표소엔 한 표 행사를 위해 찾아온 이들로 북적였다.

선거권을 가진 일본 거주 재외동포는 지난해 4월 기준 411043명으로, 이 가운데 재외국민 투표를 신청한 등록인수는 38600명이다.

이날 박철희 주일 대사는 ·일 관계가 지금까지 획기적으로 개선됐기에 이 부분이 유지 발전될 수 있게 차기 대통령도 노력해주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김이중 재일본대한민국민단(민단) 단장도 이날 투표를 마친 뒤 아침부터 많은 분들이 나와서 투표했다 하루 빨리 좋은 대한민국이 되기를 기원한다고 밝혔다.

 

일본에 이어 중국에서도 한 시간 간격으로 재외투표가 시작됐다. 중국에서 재외국민 투표를 신청한 등록인수는 25154명이다. 투표소는 베이징과 상하이, 칭다오 등 10곳에 마련됐다.

이날 투표장을 찾은 베이징대 유학생 양다연씨는 청년의 입장에서 대한민국의 미래를 생각하며 투표했다 차기 대통령은 갈등보다 미래를 생각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교민 최순영씨는 소원해진 중국과 관계를 회복해 교민들이 자긍심을 가질 수 있는 나라를 만들어주기 바란다고 했다.

 

밴쿠버 재외유권자 7,314 전 세계 공관 중 7

캐나다 밴쿠버의 재외선거인명부에 등재된 밴쿠버 유권자는 총 7,314명으로, 전 세계 공관 중 7위이자 캐나다 내에서 가장 많다.

이는 직전 제22대 국회의원 재외선거에서 국외부재자 및 재외선거인으로 등록된 3,140명보다 2배 이상 증가한 수치다.

 

밴쿠버총영사관 재외투표소

-장소: #1600-1090 West Georgia St, Vancouver(밴쿠버총영사관 대회의실, 16)

-기간: 5 20()~25(),  6일간

-투표 시간: 08:00~17:00

 재외 투표 기사 더 보기 

https://myinfo1030.tistory.com/964

https://myinfo1030.tistory.com/965

https://myinfo1030.tistory.com/966

■ 귀하의 소중한 한 표는 대한민국의 미래를 결정합니다.

  Vancouver Harbour 주변 산책

 

 Canadian Flag(Maple Flag)

 Government of Canada(administrative agency) logo

 20250520 TUE 12:22 Canada Place 벽화

Vancouver Cruise Ship Dock

1055 Canada Pl Vancouver, BC V6C 3T4. CANADA

 

캐나다 플레이스(Canada Place) 는 코마가타 마루 플레이스(Komagata Maru Place)와 공동으로 명명되었으며 캐나다 브리티시 컬럼비아 주 밴쿠버 의 버러드 인렛 에 위치한 건물입니다.

밴쿠버 컨벤션 센터팬 퍼시픽 밴쿠버 호텔밴쿠버 세계 무역 센터밴쿠버 가상 비행 체험 플라이오버(Flyover in Vancouver )가 이곳에 있습니다.

건물 외부는 돛과 유사한 천 지붕으로 덮여 있습니다.

또한 이곳은 알래스카 로 가는 크루즈가 출발하는 이 지역의 주요 크루즈 여객 터미널 이기도 합니다.

이 건물은 Musson Cattell Mackey Partnership 및 DA Architects + Planners 와 합작으로 건축가 Zeidler Roberts Partnership이 설계했습니다 .

 

캐나다 플레이스는 웨스트 코르도바 스트리트를 통해 접근 가능하며스카이트레인 시버스 웨스트 코스트 익스프레스 가 운행되는 주요 교통 허브인 워터프런트 역 근처에 있습니다 .

 

이 건물은 2001년에 또 다른 크루즈선 정박지를 수용하기 위해 확장되었습니다.

2010년 동계 올림픽 기간 동안 캐나다 플레이스는 메인 프레스 센터로 사용되었습니다.

-----

Canada Place, co-named Komagata Maru Place, is a building situated on the Burrard Inlet in Vancouver, British Columbia, Canada.

It is home to the Vancouver Convention Centre, the Pan Pacific Vancouver Hotel, the Vancouver World Trade Centre, and the virtual flight experience Flyover in Vancouver.

The building's exterior is covered by fabric roofs resembling sails.

It is also the main cruise ship passenger terminal for the region, where cruises to Alaska originate. The building was designed by architects Zeidler Roberts Partnership in joint venture with Musson Cattell Mackey Partnership and DA Architects + Planners.

 

Canada Place is accessed via West Cordova Street and near Waterfront Station, a major transit hub with SkyTrain, SeaBus, and West Coast Express connections.

 

The structure was expanded in 2001 to accommodate another cruise ship berth. During the 2010 Winter Olympics, Canada Place served as the Main Press Centre.

 

 기사 출처 : https://en.wikipedia.org/wiki/Canada_Place

 20250520 TUE 11:06 Light Shed, 1199 W Cordova St, Vancouver, BC. CANADA

♥ 인연 그중에 그대를 만나

https://www.youtube.com/watch?v=xkKo2nD8RTE

https://www.youtube.com/watch?v=PUfnFR5epqE

https://www.youtube.com/watch?v=SZrjNYqxi30

 20250520 TUE 12:01 The Drop

Vancouver Convention Centre West Building, 1055 Canada Pl, Vancouver, BC V6C 0C3. CANADA

Vancouver Harbour Flight Centre

서울삼성병원 장례식장 광장에 동일한 작품이 설치 되어있다.

 20250520 TUE 11:29 Olympic Cauldron

1055 Canada Pl, Vancouver, BC V6C 0C3. CANADA

2010년 동계 올림픽 성화대는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주 밴쿠버 에서 열린 2010년 동계 올림픽을 위해 설치되었습니다.

이 성화대는 BC 플레이스 에서 열린 개막식에 사용되었으며, 잭 풀 플라자 에는 올림픽 성화 채화식 을 야외에서 대중이 볼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규정을 준수하여 영구적인 공공 성화가 설치되었습니다.

The 2010 Winter Olympics cauldron was erected for the 2010 Winter Olympics in Vancouver, British Columbia, Canada.

A version of the cauldron was used as part of the opening ceremony at BC Place, while a permanent, public cauldron was constructed in Jack Poole Plaza, in compliance with protocol stating that the lighting of the Olympic flame should be visible outdoors to the public.

■ 21대 대통령 선거투표했습니다. 바로 가기 

https://cafe.daum.net/mundypark1/FKaD/245

https://myinfo1030.tistory.com/967

https://www.vanchosun.com/community/main/frame.php?main=1&boardId=3&bdId=53012&cpage1=1&sitemode=&viewtype=&search_keywordtype=&search_type=&search_title=&search_terms=&search_so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