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로키산맥의 터줏대감 퓨마는 왜 파타고니아까지 내려갔나

myinfo1030 2025. 6. 11. 09:17

[수요동물원] 로키산맥의 터줏대감 퓨마는 왜 파타고니아까지 내려갔나

정지섭 기자2025. 6. 10. 23:37

 

https://v.daum.net/v/20250610233746119

 

[수요동물원] 로키산맥의 터줏대감 퓨마는 왜 파타고니아까지 내려갔나

미국 과학잡지 스미스소니언 매거진에 최근 좀처럼 마주치지 않을 것 같은 두 짐승, 펭귄과 퓨마에 관한 기사가 실렸습니다. 아르헨티나 파타고니아 지역에 조성된 몬테 레오 국립공원은 마젤

v.daum.net

펭귄 서식지 초토화한 퓨마 박멸
알고보니 생태계 통제하는 최고 포식자
유라시아의 표범과 함께 가장 널리 분포하는 고양잇과 맹수
파타고니아 고원을 활보하고 있는 퓨마/Cascada Travel

미국 과학잡지 스미스소니언 매거진에 최근 좀처럼 마주치지 않을 것 같은 두 짐승, 펭귄과 퓨마에 관한 기사가 실렸습니다. 아르헨티나 파타고니아 지역에 조성된 몬테 레오 국립공원은 마젤란 펭귄이 집단으로 서식하는 보금자리이자 보호구역입니다. 그런데 국립공원으로 조성되고 3년이 지난 2007년부터 이곳에 살벌한 불청객이 모습을 드러내기 시작했습니다. 퓨마입니다. 수적으로 아무리 압도적이라고 해도 기본적으로 펭귄이 퓨마에게 대적하기란 불가능합니다. 퓨마의 습격으로 펭귄 서식지가 초토화되는 일이 잦아지자 관리자들은 ‘개입’을 결정합니다. 펭귄을 지키기 위해 퓨마 박멸에 나선거죠. 이 결정은 과연 옳았을까요?

파타고니아에 집단 서식하면서 퓨마의 표적이 된 마젤란 펭귄./ Javier Ciancio. Smithsonian Magazine

그렇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는 내용을 담은 논문이 지난해 12월 발간된 생태학술지 ‘저널 오브 더 네이처 컨저베이션’에 실렸어요. 해양생물학자 하이베르 시안치오 등이 공저·게재한 논문은 생태계를 망친 주범은 퓨마가 아니라 인간일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이 지역의 궤적을 훑었더니 본래 퓨마가 최상위 포식자로 군림하던 지역에 사람이 들어오고 개간되면서 퓨마가 박멸됩니다. 최고 포식자가 사라진 곳에서 펭귄은 엄청나게 숫자를 불리며 번성했던 것이죠. 그러니 이곳에서 사냥하는 퓨마를 ‘출몰’이라기보다는 ‘귀환’이라고 해야하지 않을까하는 혼란스러운 상황인거죠. 한편으로는 북아메리카 로키산맥의 터줏대감으로 알려진 퓨마의 강인한 생존 본능을 보여주는 사례라고도 할 수 있을 거예요.

몬타나 주의 눈내린 산의 바위에서 포착된 퓨마./Montana Fish Wildlife and Parks

사자·호랑이·표범·재규어·치타와 함께 대형 고양잇과 맹수 6대 천왕으로 꼽히는 퓨마. 그러나 다른 다섯 종류에 비해서 존재감이 다소 약한 것도 사실입니다. 양강인 사자·호랑이처럼 범접할 수 없는 카리스마가 있다고 보기 어려워요. 스피드(치타)·매복 공격(표범)·수중 기습(재규어)처럼 단번에 떠오르는 상징적인 필살기가 있는 것도 아니고요. 퓨마의 주된 서식지로 많이 알려진 로키 산맥 일대는 아프리카 사바나·아마존 정글과 달리 야성의 본능으로 가득찬 생존 투쟁의 장이라는 인식이 크지 않은 것도 퓨마의 존재감을 조금은 가볍게 하는 요인이 됐습니다.

나무에 앉아 쉬고 있는 퓨마./National Park Service

퓨마는 불곰·흑곰과 함께 미국인들이 야외 활동을 하거나 혹은 주택가 등 일상에서 맞닥뜨릴 수 있는 대표적인 맹수입니다. 아무래도 절대적인 몸크기에서는 퓨마가 곰보다 열세이다보니 상대적으로 덜 위협적으로 느낄 수도 있을텐데요. 문제는 음식물 쓰레기부터 풀과 나무열매까지 이것저것 가리지 않고 먹는 잡식성인 곰과 달리 퓨마는 진성 육식맹수라는 점입니다. 이들의 식단을 보면 세계 최대의 사슴인 말코손바닥사슴부터 쥐·다람쥐까지 망라돼있습니다. 풀 따위는 거들떠보지도 않습니다.

점프하는 퓨마. 퓨마는 고양잇과 맹수중에서도 타의 추종을 불허라는 점프력을 가졌다./National Park Service

퓨마는 직접 사냥으로 먹잇감을 마련하는 정통 식육맹수라는 점에도 불구하고 사람을 공격하는 사례가 아주 드물어서 곰에 비해 큰 위협으로 인식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이런 통념이 최근에 와르르르 무너지고 있어요. 대도시와 주택가에 출몰하는 횟수도 부쩍 늘어난데다가 인명사고까지 보고되고 있거든요. 퓨마에 대한 공포심을 배가시킨 사건이 지난해 3월 미 서부 시에라산에서 일어났어요. 수사슴들이 뿔갈이 하는 시즌을 맞아 녹용을 주우러 젊은 남성 두 명이 산속으로 들어갔다가 어린 퓨마와 마주쳤습니다. 형제는 침착했어요. 퓨마와의 거리는 10m. 매뉴얼대로 두 팔을 머리 위로 얹어서 덩치를 크게 보이게 해 위압감을 조성하려고 했고, 소리를 질러서 겁을 줘서 쫓아버리려 했죠. 부담을 느낀 퓨마는 조용히 숲속으로 사라졌을 것입니다. 매뉴얼대로라면요.

어둠 속에서 눈빛이 번뜩이는 퓨마./USFWS

퓨마가 매뉴얼을 순식간에 파괴하면서 비극이 시작됐습니다. 퓨마의 점프력은 상상을 초월합니다. 도움닫기 없이 제자리에서만 7미터를 훌쩍 뛸 수 있어요. 도움닫기까지 할 경우 한 번의 점프 거리는 13미터에 이릅니다. 한마디로 퓨마는 피해자들과 코앞에 있었다는 얘기가 됩니다. 결국 한 명이 목숨을 잃고, 한 명은 크게 다치는 비극이 벌어졌습니다. 서부 깊숙한 산악지대에 주로 살던 퓨마가 중부 등 평지의 대도시에 출몰하는 경우도 잦아지고 있습니다. 퓨마의 서식지 확장일까요? 인간 공간의 확대에 따른 필연적 충돌일까요? 좀 더 정밀한 연구가 필요해보입니다.

퓨마의 어린 새끼. 사자와 마찬가지로 새끼 특유의 무늬는 자라면서 점차 없어진다./National Park Service

퓨마는 종종 로키산맥과 시에라네바다 산맥을 터전으로 하는 북아메리카의 고양잇과 맹수로 인식되곤 합니다. 하지만 실제 퓨마의 서식지는 미국 동남부를 비롯해 멕시코, 허리처럼 잘록한 중남미를 거쳐 남미 안데스산맥까지 이릅니다. 특히 플로리다 지역에 살고 있는 아종(亞種)은 ‘플로리다범(Florida Panther)’라고 불리는데 희귀성으로 인해서 멸종위기종으로 엄격히 보호되고 있기도 하죠.

https://www.instagram.com/reel/C7IBLLRheQ3/

플로리다범이라고 불리는 퓨마의 아종. 플로리다 등 미 동남부에 분포하는 희귀종이다./National Park Service

서식지의 분포 범위가 넓다는 측면에서 보면 퓨마는 큰고양이 6대 천왕 멤버중에서 표범과 비슷한 측면이 있습니다. 남북아메리카에 걸쳐있는 넓은 서식지를 자랑하는 퓨마처럼, 표범도 아프리카·인도·중앙아시아·동아시아에 이르는 넓은 지역에 살아가고 있거든요. 생활 반경이 인간의 도시와 겹치는 현상 속에 인간과 동물에 대한 공격 사례가 늘고 있다는 점도 최근 퓨마의 동향과 일맥상통하는 면이 있습니다. 인간이라는 절대 강자 속에서도 존재감을 드러내고 있는 두 거대고양이는 물리적으로 대서양과 태평양을 사이에 두고 있어 야생에서 마주칠일은 없습니다. 그래서 한편으로는 궁금해집니다. 두 거대고양이가 맞붙으면 어떤 일이 벌어질지를요.

아메바부터 침팬지까지, 사람 빼고 살아 숨 쉬는 모든 것들에 대한 이야기를 들려드립니다.
수요동물원 구독하기(https://www.chosun.com/tag/jungjisup-zoo/)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