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대한민국 과 북한 세계문화 유산

myinfo1030 2025. 7. 14. 10:00

 

 
 

 
 

대한민국에는 17개, 북한의 것까지 포함하면 20개의 세계유산이 등록되어 있다. 한반도 전역에 17개의 문화유산과 2개의 자연유산, 1개의 복합유산을 보유하고 있다.
대한민국(남한)의 세계유산은 국가의 면적을 고려했을 때 타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 편에 속한다. 북한의 세계유산을 합산한다면 그 규모는 더욱 커진다.[1] 아래 나오듯 1995년 첫 등재 이후 2000년대 빼고 1~3년 간격으로 꾸준히 등재시켜 왔다.

명칭
지정일
지정번호
기준
문화유산
736
I, IV
737
IV, VI
738
IV
816
II, III, IV
817
II, III
976
II, III
977
III
1091
I, II, III, IV
1319
III, IV, VI
한국의 역사마을 하회 양동[6]
1324
III, VI
1278
II, III
1439
II, IV
1477
II, III
1562
III
1498
III
1666
III
1740
I, III
자연유산
1264
VII, VIII
1591
X
복합유산
1642
III, VII
 문서의 r359 판, 3.1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1] 북한은 대한민국에 비해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활동에 소극적이었다. 이를 감안하면 북한의 잠재적인 세계유산 등재 후보는 범위가 더욱 넓어진다. 면적이 더 넓고, 옛 고구려 고려의 수도가 있으며, 개마고원 등과 같이 남한 지역에서 볼 수 없는 자연환경과 절경을 다수 보유한 북한이 세계유산 수가 대한민국에 비해 크게 떨어지는 이유도 이와 무관하지 않다. 그러나 2024년 코로나19 종식 및 통일 포기 선언 후 돌연 조선옷, 백두산, 금강산 등 세계유산 등재 시도를 활발히 하기 시작했다. 한편 남북통일을 가정할 시 판문점, 비무장지대 등 남북분단과 6.25 전쟁의 유산들도 충분히 유네스코 등재를 추진할 수 있고, 북한의 부족한 탐사·발굴 기술을 대한민국의 것으로 대체하게 되므로 남북통일 이후 통일 한국의 유네스코 세계유산 수는 남북한이 따로 등재하는 것보다 더 많이 늘어날 것이다.

[2] 판전 안에 보관된 팔만대장경 세계기록유산이다.

[3] 이미 등재된 석굴암과 불국사 제외. 남산 지구, 월성 지구, 대릉원 지구, 황룡사 지구, 산성 지구로 이루어져 있다.

[4] 평양·남포·안악

[5] 연산군묘 광해군묘, 북한에 있는 정종의 능 제외.

[6] 알파벳 순서였다고 한다.

[7] 선암사, 대흥사, 법주사, 마곡사, 통도사, 봉정사, 부석사 총 일곱 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