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방 정부가 BC 페리의 ‘중국산 페리’ 도입 결정에 “경악과 실망”이라며 이례적으로 강력한 질타를 보내, 연방-주정부 간의 갈등이 정면으로 충돌했다. 크리스티아 프리랜드 연방 교통부 장관은 20일 공개서한에서, 현재의 지정학적 상황에서 중국 국영 조선소와 계약한 것을 문제 삼으며 “안보 위험에 대한 대책을 내놓으라”고 BC 주정부에 공식적으로 요구했다.
프리랜드 장관은 BC주의 마이크 판워스 교통부 장관에게 보낸 서한에서, 현재의 지정학적 상황에서 BC 페리가 중국 국영 조선소를 선택한 것에 대해 “경악을 금치 못한다”고 밝혔다.
그는 중국이 캐나다산 카놀라유와 돼지고기 등에 “부당한 관세”를 부과하고 있는 적대적 무역 환경을 지적하며, 이러한 상황에서 BC 페리가 왜 계약에 ‘캐나다산 부품 의무 사용’과 같은 조항을 넣지 않았는지 이해할 수 없다고 질타했다.
특히 그는 사이버 보안을 포함한 잠재적인 안보 위협과, 향후 선박 유지 보수 및 부품 공급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에 대해 우려를 표했다. 그는 “BC 페리가 견고한 위험 평가를 수행했는지, 그리고 연방 안보 기관과 협력하여 모든 안보 위험을 완화할 것인지에 대한 확답을 달라”고 요구했다.
또한, 프리랜드 장관은 연방 정부가 BC 페리에 매년 보조금을 지급하고 있으며, 캐나다 인프라 은행 역시 7,500만 달러의 대출을 제공하고 있다는 점을 상기시키며, “연방 자금이 이번 새 페리 구매에 사용되지 않을 것이라는 점을 확실히 해달라”고 압박했다.
이에 대해 BC 페리 측은 “엄격하고 투명한 조달 절차를 거쳐, 월등한 차이로 가장 강력한 제안을 한 업체를 선정한 것”이라고 반박했다. 또한, “지난 10년간 캐나다 기업들이 중국 조선소에서 건조한 선박은 100여 척에 달한다”며 일반적인 관행임을 강조했다.
BC 페리는 안보 우려에 대해서도 “계약 전부터 캐나다 교통부 및 공공안전부와 협력해왔다”며, “IT 네트워크와 같은 민감한 시스템은 캐나다 내에서 별도로 조달해 BC 페리 직원이 직접 설치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비 주수상에 이어 연방 장관까지 나서면서, 이번 사태는 BC 페리의 지배구조와 캐나다 조선업의 경쟁력 문제, 그리고 중국과의 관계 설정이라는 복잡한 문제들이 얽힌 국가적인 이슈로 비화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