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24번 말 바꾼' 트럼프, 캐나다에 "8월부터 35% 관세" 최후통첩

myinfo1030 2025. 7. 12. 14:06

 '24번 말 바꾼' 트럼프, 캐나다에 "8월부터 35% 관세" 최후통첩

밴쿠버 중앙일보 기자 입력25-07-11 10:53 수정 25-07-11 11:02

https://joinsmediacanada.com/bbs/board.php?bo_table=news&wr_id=46178

트럼프 대통령이 10일 마크 카니 총리에게 보낸 공개서한

 

3개월간 입장 24차례 번복…'예측불가' 협상 전략에 동맹국 혼란

8월 1일, 실제 부과될까?…캐나다 정부, 대응책 마련에 '골머리'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캐나다를 향해 ‘35% 관세’라는 초강력 최후통첩을 날렸다. 하지만 지난 3개월간 관세 관련 입장을 24차례나 번복한 전력이 있어, 이번 조치가 실제 실행될지, 아니면 또 다른 '벼랑 끝 협상 전술'일지를 놓고 캐나다를 비롯한 전 세계가 혼돈에 빠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10일 자신의 소셜미디어인 트루스소셜에 마크 카니 총리를 수신자로 한 공개서한을 통해, 오는 8월 1일부터 모든 캐나다산 수입품에 35%의 포괄적인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했다.

 

서한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 관세 부과의 명분으로 '펜타닐 위기'를 내세웠다. 그는 "캐나다가 마약이 미국으로 쏟아져 들어오는 것을 막지 못해 펜타닐 위기를 초래했다"며 "캐나다는 미국과 협력하는 대신 자체적인 보복 관세로 대응했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번 35% 관세가 기존의 다른 부문별 관세와는 별개로 부과될 것이라고 못 박았다.

 

특히 "만약 당신(카니 총리)이 어떤 이유로든 관세를 인상하기로 결정한다면, 당신이 올리는 그 수치만큼 우리가 부과하는 35%에 추가될 것"이라고 경고하며, 캐나다의 보복 관세에 재보복할 것임을 시사했다. 또한 고질적인 무역 적자와 캐나다의 낙농업 분야도 문제 삼으며 추가적인 무역 분쟁의 불씨를 남겼다.

 

하지만 이번 캐나다에 대한 위협이 단순한 엄포로 그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는 이유는 트럼프 대통령의 예측 불가능한 '말 바꾸기' 전력 때문이다. 포브스 등 외신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4월 상호관세 부과를 처음 발표한 이후 7월 초까지 관세 관련 입장을 무려 24차례나 뒤집거나 변명했다.

 

그는 상호관세 유예 연장 여부에 대해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겠다"(6월 11일)고 했다가 며칠 뒤 "연장은 없다"고 입장을 바꿨다. 관세 부과 서한 발송 대상 국가도 처음에는 "수백 개"라고 했다가 '10~12개국', '12~15개국'으로 계속 말을 바꿨다. 마감 시한 역시 7월 9일과 8월 1일을 오가며 협상 상대국들의 혼란을 부추겼다.

 

이러한 행보는 트럼프 대통령 특유의 '벼랑 끝 전술'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먼저 극단적이고 공격적인 조치를 예고해 상대방을 압박한 뒤, 실제 발효까지는 시간을 벌어주며 막판에 유리한 제안을 받아내는 협상 전략이라는 것이다. 악시오스는 "트럼프 대통령이 전에도 썼던 것처럼, 공격적인 관세 조처를 예고하고 발효 시한은 충분히 줘서 무역 상대국들이 막판 제안을 내놓도록 유도하는 전략"이라고 분석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 서한에서도 '당근'을 제시하는 것을 잊지 않았다. 그는 "만약 캐나다나 캐나다 내 기업들이 미국 내에서 제품을 만들거나 생산하기로 결정한다면 관세는 없을 것"이라며 "사실 우리는 그 승인이 신속하고 전문적으로, 몇 주 안에 이루어지도록 모든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는 관세를 무기로 미국 내 투자를 유도하고 자국 일자리를 창출하려는 노골적인 압박이다.

 

결국 캐나다 정부와 기업들은 트럼프 대통령의 말이 또 바뀔 가능성과 실제 '관세 폭탄'이 터질 가능성 사이에서 아슬아슬한 외줄타기를 해야 하는 처지에 놓였다. 8월 1일이 다가올수록 캐나다 경제를 둘러싼 불확실성의 격랑은 더욱 거세질 전망이다.